top of page

23190011 박유민
우리가 일상적으로 보는 별 기호(☆) 뿐만이 아닌 여러 가지 모양의 별 이미지를 사용하였습니다. 꼭짓점이 5개가 아니어도, 별의 모양조차 아닌 네온사인이나 종이로 되어있는 글씨들도 star이라고 쓰여있기에 우리 머릿속에선 '별'이라는 한 글자...

23190027 이제연
메인 테마는 동양화로 동양화에 사용되는 산수화와 주요 도상이 되는 까치와 사군자의 매화를 컬러로 포인트를 주었습니다. 23190027@g.sewc.ac.kr 조선시대를 배경으로 경복궁에 자리한 해치 한쌍을 표현하기 위해 범 두마리와 봄에 피는...

23190033 조영은
무언가가 지나가는 공간이나 여러 방안, 꿈과 같이 다양한 뜻으로 해석될 수 있는 '길'이라는 단어를 시각적으로 디자인 했습니다. 사람은 저마다의 길이 있으며, 그 여러 갈래의 가능성 위에 서서 고민하는듯한 느낌을 표현했습니다.

23190037 최예진
물결 파, 갈래 파, 깨트릴 파라는 한 글자 한자 세 주제를 한데 묶어 사람이라는 대주제를 결합시킴으로 유동성, 원천이 되는 대자연(및 인간)의 공통점들을 이미지로 표현하고자 함 <수정 전> 수정 후

23190022 윤태경
'후'라는 단어를 통해 잔잔한 바람이 불어오는 소리인 후와 누구라는 영어 단어인 후(who)를 떠올렸습니다. 하나의 단어로 대비되는 두가지 디자인을 하고자 하였습니다.

23190039 최진경
저의 주제는 한 글자 책으로 선정하였습니다. 책의 이미지를 떠오를 수 있게 깔끔하고 한 눈에 알아볼 수 있게 그래픽으로 표현했습니다. 어두운 곳에서 책을 읽었던 모습을 연상할 수 있게 ' ㄱ ' 을 책상처럼 표현하고 ' ㅊ ' 을 끝을 전등...

23190031 정윤서
'흰'이라는 글자가 주는 하얗고 깨끗하며 순결한 느낌을 주고싶었습니다. 순수한 느낌을 주는 흰 비둘기와 흰 뱀, 진주 등을 통해 함께 꾸몄고 인간의 몸이 저는 저희의 제일 순수하며 아름다운 느낌을 보여준다고 생각했습니다. 아름다움을 강조하고 싶어...

23190016 송미양
점이 모여 선이 되고 선이 모여 면이 된다. 면을 만드는 단계를 나누어 보면 점은 면을 만들기 위한 시작, 기초 단계이고 선은 시작과 끝의 중간, 결과의 중간단계. 면은 결과에 속한다고 볼 수 있다. 이때 선은 면을 만들기 위한 중간 과정에...

23190009 문지우
한글자 단어 "락"을 주제로 선정하여 우리가 흔히 즐기는 오락을 떠올리고 디자인해보았습니다. 가장 유명한 고전 게임 "팩맨"과 "슈퍼 마리오 브라더스"를 이용하여 표현했습니다.

23190007김태니
현실 적인 집의 이미지를 사용하여 단순한 형태와 색으로 그림처럼 집 외곽을 표현하였습으며, 집 내부의 따뜻함을 표현하였습니다.

23190038 최주은
섬의 고립적이고 한정적인 장소와 그로 인해 발달한 독특한 생태계를 표현해보았습니다. 사면이 바다로 둘러싸여있는 섬의 특징과 그 안에서 발달한 생태계, 섬에서 사는 사람들의 모습을 표현해보았습니다.

23190019 양수빈
정이라는 글자를 용하여 다른 분위기로 또 제작해보았는데 마찬가지 로 글자에 그림을 똑같이 배치하고 이번에는 청소년기 아이의 방과 과자를 배치함으로써 또다른 '정'의 특색을표현하였습니다. 작품을 보는 세대적인 관점을 달리하여 또다른 복고의 느낌을...

23190036 천유림
세상에는 특수문자 별 말고도 다양한 별이 존재한다. 하지만 우리는 '별'이라는 단어를 떠올렸을 때 막연히 특수문자만을 생각하게 된다. 우리의 일상생활 속에는 게임 속에서 쓰이는 별과 우주에 실재하는 별, 그리고 행성마저 우리는 별이라고 부르며,...


23190001 고예원
저에게 약이라는 단어는 - 부정적인 약 : 마약, 술, 담배.. - 긍정적인 약 : 알약, 가루약, 부모님 손 (약 손).. 이렇게 크게 두가지 뜻으로 나눠집니다. 무슨 약을 먹는 지에 따라 한 사람의 인생이 정반대로 달라진다는 것을 표현하고...

23190014 방혜진
일상에 친근히 베여있는 단어 3가지, '회', '깡', '연'을 선정하여 시각적으로 재밌게 표현하고자 하였습니다. '회'에서 연상 되는 연어의 빛깔, '깡'에선 강렬한 이미지와 언어유희를, '연'에서는 사람 간의 연분을 상징적인 사물에 빗대어...
bottom of page